GLC 학술 한국어 쓰기 동영상 강의 안내
GLC 학술 한국어 쓰기 동영상 강의 학습
1) 학술 한국어 쓰기의 기본 원리를 다루고 있습니다.
2) 학점을 받는 정규 교과목이 아니며, 무료로 제공되는 학습지원 프로그램입니다.
3) LearnUs의 ‘나의 강좌’를 통해 볼 수 있습니다.
4) GLC 1, 2학년 학생은 이 강좌에 수강생으로 자동 등록되어 있으며,
학생들은 LearnUs의 ‘나의 강좌’에서 희망하는 주제를 선택하여 자율적으로 학습하면 됩니다.
5) 제공하는 주제는 총 14개이며, 주제당 러닝 타임은 약 30분 내외입니다.
6) 저작권 보호를 위하여 동영상 강의를 학습하는 학생은 ‘온라인 학습 관련 확인서’에 서명하여 해당 강의실에 제출해야 합니다.
7) TOPIK 5급 이상 학생이 학습하였을 때 학습 효과가 가장 높습니다.
나. 주제
주제명 | 교수 | 내용 |
TOPIKⅡ 쓰기: 시험 소개 및 기본 원리 (25:00) | 이현지 | ▸TOPIK II 쓰기 시험 문제 유형 소개 ▸글말과 입말 & 부사 및 접속사 ▸격식체 높임말과 반말 & 속담 및 관용 표현 |
TOPIKⅡ 쓰기: 51번, 52번 문제 분석 및 작성법 (45:00) | 이현지 | ▸51번 문제 답안 작성 전략 및 기출 문제 분석 ▸52번 문제 답안 작성 전략 및 기출 문제 분석 |
TOPIKⅡ쓰기: 53번, 54번 문제 분석 및 작성법 (45:00) | 이현지 | ▸원고지 작성법 ▸53번 문제 답안 작성 전략 및 기출 문제 분석 ▸54번 문제 답안 작성 전략 및 기출 문제 분석 |
서평의 글쓰기 : 읽기 단계 (39:17) | 구인모 | ▸서평이란 무엇인가? ▸서평은 왜 쓰는가? ▸책을 어떻게 읽을까? ▸책은 단계에 따라 읽는다 |
서평의 글쓰기 : 쓰기 단계 (52:42) | 구인모 | ▸서평의 방법 ▸글은 단계에 따라 쓴다 ▸좋은 글을 쓰는 방법 |
영화 감상문 쓰기 (39:12) | 김유미 | ▸영화 감상문의 이해 ▸영화 감상문 내용 구성하기 ▸영화 감상문 작성 요령1 ▸영화 감상문 작성 요령2 |
사회과학 보고서의 연구질문 만들기와 사회과학적 글쓰기 (16:39) | 허재영 | ▸다르게 생각하고 익숙한 것에서 유추하여 생각하라 ▸우상에 대한 시비 걸기와 평범한 것에 대한 호기심 ▸질문거리는 어디서 얻는가 ▸질문 유형과 좋은 질문 ▸인과관계를 찾아라 |
사회과학 보고서의 본문 구성하기 (29:14) | 허재영 | ▸서사로서 논문의 구조와 흐름 ▸대화를 시작하는 방법과 다리 놓기 ▸공적인 글쓰기 : 연구 방법과 결과 ▸결과에 대한 논의 ▸정부 기관의 보고서가 아니다 |
한국어 쓰기 표현1 (28:44) | 박지순 | ▸올바른 조사와 어미의 사용 ▸올바른 사동 표현 ▸올바른 피동 표현 |
한국어 쓰기 표현2 (31:24) | 박지순 | ▸올바른 접속 표현 및 연결 어미 ▸주어와 서술어의 호응 ▸목적어와 서술어의 호응 ▸수식어와 피수식어의 호응 ▸올바른 어순 표현 |
단락 쓰기와 글의 구성 (28:17) | 김선영 | ▸단락에 대한 이해 ▸주제문과 개요 작성 ▸소주제와 한 단락 쓰기 ▸여러 단락을 통한 완성된 글쓰기 |
대학에서 요구하는 좋은 글 (22:32) | 조민정 | ▸좋은 글이란 ▸글에서 틀린 곳 찾아보기 ▸말과 글의 차이 익히기 |
발표를 보고서로 완성하기 (32:06) | 조민정 | ▸말과 글의 차이점 ▸발표를 위한 준비 절차 ▸보고서를 위한 준비 절차 |
표절 예방과 출처 표기법 (32:33) | 이정은 | ▸글쓰기의 윤리 ▸출처 표기의 개념과 유형 ▸제시법1 – 주석 ▸제시법2 - 인용 ▸제시법3 - 참고문헌 |
다. 문의: 032-749-3445, writing@yonsei.ac.kr